안녕하세요? 우체국 공무원 H입니다.
#공무원월급 #공무원연봉 등의 키워드로 많이들 검색하시더라고요.
저는 현실적인 감각을 위해서는 월급 명세서를 보여 드리는 게 가장 좋다는 생각이 들었어요.
공무원은 호봉제이고, 저의 경우
6년 1개월 근무했을 때의 월급 명세서
6년 1개월 근무 중의 명절 휴가비 명세서
6년 2개월 근무했을 때의 월급 명세서
이렇게 3가지를 들고 왔습니다.
저 위에 첫번째 사진이 6년 1개월 근무했을 때의 월급 명세서 입니다.
직급은 행정서기, 호봉은 6호봉입니다.
실수령액은 2,937,000원 받았습니다.
1월이라 정근 수당이 70만 원 가까이 나왔기에 이 만큼 받은 것이지,
평소에는 이렇게 300만 원 가까이 받질 못합니다.
공제 내역도 자세히 확인해 보세요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은 공무원의 성실한 근무에 대한 보상과 격려 차원에서 지급되는 부가적 급여입니다. 이 수당은 근무연수에 따라 월봉급액의 5~50%를 연 2회 지급하며, 매월 5~13만 원의 가산금도 포함됩니다. 정근수당은 공무원이 한 조직에 오랫동안 근무한 것에 대한 일종의 보상 개념
으로, 지급액이 다른 수당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특징이 있습니다.
은 매년 1월과 7월의 보수지급일입니다. 1월 정근수당은 전년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기간 중 1개월 이상 봉급이 지급된 공무원에게 지급되며, 7월 정근수당은 해당 연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중 1개월 이상 봉급이 지급된 공무원에게 지급됩니다.
은 공무원의 근속연수와 월봉급액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 근속연수에 따라 월봉급액의 일정 비율이 적용되며, 이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.
근속연수 | 지급률 (월봉급액 기준) |
---|---|
1년 미만 | 10% |
2년 미만 | 10% |
3년 미만 | 20% |
4년 미만 | 20% |
5년 미만 | 20% |
6년 미만 | 25% |
7년 미만 | 30% |
8년 미만 | 35% |
9년 미만 | 40% |
10년 미만 | 45% |
10년 이상 | 50% |
은 다음과 같습니다
예를 들어, 8급 공무원(6호봉)의 월봉급액이 2,331,300원이고 근속연수가 7년인 경우, 지급률은 30%로 계산됩니다. 따라서 정근수당은 . 원이 됩니다
이제 공무원 경제력을 좀 엿보게 되었을까요?
박봉 소리 많이 듣는 공무원 월급이지만,
이전에 도시 빈민 수준으로 살던 저에게는 아주 소중한 돈이랍니다.
행복은 숫자로 표현할 수 없고,
자급자족과 내적 충만함에서
나오기 때문이 아닐까요?
댓글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