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무원 월급 명세서 공개 #보수지급명세서 #인증샷 #정근수당



 공무원 월급 명세서 공개 #보수지급명세서 #인증샷 #정근수당

안녕하세요? 우체국 공무원 H입니다.

#공무원월급 #공무원연봉 등의 키워드로 많이들 검색하시더라고요.

저는 현실적인 감각을 위해서는 월급 명세서를 보여 드리는 게 가장 좋다는 생각이 들었어요.

공무원은 호봉제이고, 저의 경우 

6년 1개월 근무했을 때의 월급 명세서

6년 1개월 근무 중의 명절 휴가비 명세서 

6년 2개월 근무했을 때의 월급 명세서

이렇게 3가지를 들고 왔습니다.

저 위에 첫번째 사진이 6년 1개월 근무했을 때의 월급 명세서 입니다.

직급은 행정서기, 호봉은 6호봉입니다.

실수령액은 2,937,000원 받았습니다.

1월이라 정근 수당이 70만 원 가까이 나왔기에 이 만큼 받은 것이지,

평소에는 이렇게 300만 원 가까이 받질 못합니다.

공제 내역도 자세히 확인해 보세요.


▲6년 1개월 근무 월급 명세서의 수당&공제금 산출 내역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
▲ 이건 올해 1월 그러니까 6년 1개월 근무하던 중에 받은 명절 휴가비 입니다.
설날 휴가비를 받은 것이죠!

그러니까 1월에는 설날 휴가비+정근 수당 포함 월급=>4,335,780원을 받았네요!
매달이 이번 같았으면 참 좋겠네요^ ^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
▲6년 2개월 근무했을 때의 월급 명세서입니다.
갑자기 숫자가 확 줄었죠?
정근 수당을 안 받는 달이다 보니, 평달은 이렇습니다.

2,241,000원

가족 수당은 가족 구성원 1인당 2만 원입니다.
보험수당과 예금수당은 우체국 공무원이니까 주는 수당이지요.

2월에는 복지포인트가 배정되는 날이므로
작아진 숫자에 너무 슬퍼하지 않아도 되지요^ ^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잠시~ 위에서 계속 나오는 정근수당에 관해 설명을 드립니다.

공무원의 성실한 근무에 대한 보상과 격려 차원에서 지급되는 부가적 급여입니다. 이 수당은 근무연수에 따라 월봉급액의 5~50%를 연 2회 지급하며, 매월 5~13만 원의 가산금도 포함됩니다. 정근수당은 공무원이 한 조직에 오랫동안 근무한 것에 대한 일종의 보상 개념

으로, 지급액이 다른 수당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특징이 있습니다.



은 매년 1월과 7월의 보수지급일입니다. 1월 정근수당은 전년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기간 중 1개월 이상 봉급이 지급된 공무원에게 지급되며, 7월 정근수당은 해당 연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중 1개월 이상 봉급이 지급된 공무원에게 지급됩니다.


은 공무원의 근속연수와 월봉급액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 근속연수에 따라 월봉급액의 일정 비율이 적용되며, 이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.

근속연수지급률 (월봉급액 기준)
1년 미만10%
2년 미만10%
3년 미만20%
4년 미만20%
5년 미만20%
6년 미만25%
7년 미만30%
8년 미만35%
9년 미만40%
10년 미만45%
10년 이상50%

은 다음과 같습니다

정근수당=월봉급액×(지급률100)

예를 들어, 8급 공무원(6호봉)의 월봉급액이 2,331,300원이고 근속연수가 7년인 경우, 지급률은 30%로 계산됩니다. 따라서 정근수당은 2,331,300×0.30=699,390원이 됩니다.


 


이제 공무원 경제력을 좀 엿보게 되었을까요?

박봉 소리 많이 듣는 공무원 월급이지만,

이전에 도시 빈민 수준으로 살던 저에게는 아주 소중한 돈이랍니다.

행복은 숫자로 표현할 수 없고,

자급자족과 내적 충만함에서

나오기 때문이 아닐까요?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