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무원, 선거철에 뭐 하면 안 될까?

 

공무원, 선거철에 뭐 하면 안 될까?

–> 정치적 중립 위반 사례와 실제 처벌

선거철이 다가오면 공무원들 사이에서 늘 등장하는 화두가 있습니다.
바로 정치적 중립.

"좋아요 누른 것도 위반일까?"
"친구가 후보인데 축하 댓글 남기면 안 돼?"
"사적으로 단톡방에 정치 얘기하면 문제될까?"

오늘은 공무원이 선거 기간에 주의해야 할 사항실제 적발 사례를 중심으로 알려드릴게요.



🧭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이란?

헌법 제7조 제2항에 따라 공무원은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입니다.
따라서 정당이나 특정 후보를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활동은 금지되어 있어요.

✅ 정치적 중립은 단순한 법이 아닌 신뢰받는 행정의 핵심 가치입니다.


⚠️ 선거철, 공무원이 하면 안 되는 행동

금지 행위예시
SNS에서 지지/반대"OO후보 꼭 당선돼야 해요!" 글 또는 좋아요 누르기
단체 대화방 정치 발언공무원 단톡방에서 특정 정당 언급 및 토론
선거운동 참여친구/가족 부탁으로 유세장 참여, 명함 돌리기
특정 후보 관련 게시물 공유기사 링크 공유, 인증샷 올리기 등

💡 SNS 활동도 선거운동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해요!


⚖️ 실제 정치적 중립 위반 사례

사례 1: “좋아요” 하나로 징계

서울의 한 7급 공무원은 특정 정당 게시물에 ‘좋아요’를 눌렀다가 경고 처분을 받았습니다.
→ 선거관리위원회는 이를 간접적 지지 표현으로 판단했습니다.

사례 2: 단체방 발언으로 정직

한 교육청 소속 공무원은 단체 카카오톡방에서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발언을 하여 정직 3개월의 중징계를 받았습니다.

사례 3: SNS 게시글 공유

지자체 공무원이 특정 후보 유세 게시글을 공유해 검찰에 고발된 사례도 있었습니다.


📌 공무원이 선거 때 기억할 3가지 수칙

  1. 좋아요, 공유, 댓글 = No!

  2. 가족/지인 부탁에도 선거운동은 금지!

  3. 사적인 공간에서도 정치 발언은 신중히!


🧑‍⚖️ 위반 시 처벌은?

  • 경징계: 경고, 견책

  • 중징계: 정직, 감봉, 해임

  • 형사처벌: 공직선거법 위반 시 벌금 or 징역형 → 당연퇴직

❗ 벌금 100만 원 이상 선고 시 당연 퇴직됩니다. 단순한 실수로 직장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.


🧠 대한민국 현실은 공무원의 정치색을 싫어합니다

공무원의 신분은 공익과 법치에 충실해야 하는 책무입니다.
공무원으로서 자긍심을 지키고 싶다면, 선거철엔 한 걸음 물러서 있어야 할 때입니다.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