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무원 할까? 공기업 갈까? 공무원 vs 공기업 직원: 차이점과 장단점 비교

 

공무원 vs 공기업 직원: 차이점과 장단점 비교

 

1. 신분 및 소속

공무원: 국가·지방자치단체 소속으로, 국가공무원법 적용.

공기업 직원: 정부 출자 기업(한국전력, 한국가스공사 등) 소속으로 근로기준법 적용.

 

2. 채용 방식

공무원:

필기시험(PSAT ) 합격이 절대적.

9·7·5급 공채 등 계급별 채용.

 

공기업:

NCS(직무능력평가) + 전공시험 강조.

기관별 자체 채용(서류필기면접).

 

3. 연봉 및 복지

공무원:

정년 보장, 공무원연금 수령.

초봉 3,500~4,000만 원(9급 기준).

 

공기업:

성과급·수당으로 실수령액 더 높음(평균 5,000만 원 초반).

국민연금 가입.

 

4. 업무 특성

공무원: 행정업무·정책 집중, 수직적 조직 문화.

공기업: 수익 창출과 공공성 병행, 상대적 유연성

 

5. 장단점 비교

항목

공무원

공기업

안정성

★★★★★ (정년 보장)

★★★★☆ (경영 상황 영향)

연봉

★★★☆☆

★★★★☆ (성과급 포함)

업무 강도

★★☆☆☆ (규칙적)

★★★☆☆ (목표 압박)

사회적 인식

★★★★★

★★★★☆

댓글